목활자 기원

  • 직지와 인쇄문화
  • 인쇄출판의 역사
  • 목활자인쇄술
  • 목활자 기원

목활자 기원

  • 직지와 인쇄문화
  • 인쇄출판의 역사
  • 목활자인쇄술
  • 목활자 기원
목활자 이미지

목활자인쇄술은 북송의 경력연간에 필승에 의하여 교니활자인쇄술이 발명되었을 때에 이미 필승에 의하여 시험적으로 사용되었으나, 당시에는 실용에 성공하지 못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목활자인쇄술이 실용에 성공한 것은 원대의 왕정(王禎, 13세기 후반∼14세기전반)에 이르러서였다. 왕정은 자가 백선(伯善)이고 동평(東平, 현 산동) 사람이었다. 그는 안휘(安徽) 정덕현(旌德縣)의 현관(縣官)을 지내면서 청렴하였을 뿐 아니라 정치적 업적도 탁월하였다.

특히, 농업생산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농업에 관한 문헌자료를 정리하여 [농서(農書)]라는 방대한 저술을 편찬하였다. 그는 공장들의 도움을 받아 자신의 설계로 3만여 개의 목활자를 제작하였으며, 그 목활자로 무종(武宗) 지대(至大) 4(1311)년에 [정덕현지(旌德縣志)]를 시인(試印)하였는데 6만여 자의 현지는 1개월이 걸리지 않고도 100부가 인성(印成)되어 그 효과가 매우 컸던 것이다.

이 때에 인출된 서적은 산일되었으나, 왕정에 의하면 활자판의 효능으로 볼 때 몇 차례는 더 인출할 수 있었던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 왕정은 인종(仁宗) 황경(皇慶) 2(1313)년에 그가 [농서]를 인출하기 위하여 준비하고 있을 때, 정덕을 떠나 강서(江西) 영풍(永豊, 현 광풍)으로 임직하라는 명을 받게 되었다.

그 때 목활자를 안휘에서 강서로 가져가 계속하여 간행할 수 있도록 준비하였다. 그러나 강서에서는 장인들을 모으면 얼마든지 각판을 통한 목판인쇄술로 간행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이에 목활자를 사용하여 간행하려던 계획을 중지하기에 이르렀던 것이다.

그의 저술 [농서] 권22의 부록에 있는 '조활자인서법(造活字印書法)'에는 사운(寫韻)·각자(刻字)·거자(鋸字)·수자(修字)·감자(嵌字) 등을 비롯하여 조륜(造輪)·취자(取字)·안자(安字)로부터 인쇄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과정이 상세하고도 체계적으로 설명되어 있다.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운영사업과
  • 담당자 우민석
  • 전화번호 043-201-4263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허락 표시
공공누리 마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마크

출처 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