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시민신문 로고
제127호 02
청주시민신문 로고
제127호 02
7/16 100%
이전 페이지
연중 기획 - 청주 피플 # # #
제2 월호 청원생명딸기로 만든 ‘직지(直指)베리’를 아시나요?
청원생명딸기로 만든 ‘직지(直指)베리’를 아시나요?
청원생명딸기로 만든 ‘직지(直指)베리’를 아시나요?
이경환 수준당 제과장

지난 1월 8일 상당구 용담동에 위치한 수제빵연구소 수준당 본점. 매장에 들어서자 딸기를 잔뜩 올려놓은 케이크가 가장 먼저 눈에 띈다. 자세히 보니 케이크 위에 '直指(직지)'란 문구가 얹혀 있다. ‘이게 뭘까?’ 생각 중인 찰나, 44년째 빵을 만들고 있다는 이경환 수준당 제과장이 다가와 말을 건다.
“이건 ‘직지베리’라고 해요. 지난해 12월 청주시로부터 직지상표권 사용 승인을 받아 만든 시그니처 제품이랍니다. 당도 높은 청원생명딸기만 사용해서 만든 케이크고, 출시를 시작한 지난해 12월에만 케이크 재료로 청원생명딸기 400kg 이상 사용했어요. 지금도 하루 평균 20개 이상 팔릴 정도로 입소문이 났습니다.”
그렇다면 수준당이 직지 상표를 활용한 케이크를 만든 이유는 무엇일까. 청주시를 대표하는 상징성 중 하나인 직지를 알리고 싶은 마음이 커서란다.
직지상표권을 활용해 추후 직지 빵, 직지 초콜릿 등도 만들 계획이다.
이 제과장은 “수준당은 이미 단팥빵 맛집으로 유명하지만, 이에 안주하지 않고 계속해서 새로운 제품을 내놓기 위해 연구하고 있다”며 “마진이 많이 남지 않더라도 상생과 나눔의 기업 문화를 지키고, 직지를 알리는 데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수준당은 올해 방서동과 용암동, 오창읍, 증평군에 추가로 지점을 열고, 현대백화점 충청점에는 팝업스토어를 운영할 예정이다.
제2 월호 ‘여유리에’로 다시 태어난 청년 작가 10인
‘여유리에’로 다시 태어난 청년 작가 10인
‘여유리에’로 다시 태어난 청년 작가 10인
자체 매장 구축 등 새로운 판로 개척 중

“여유리에는 청년 지역작가들의 연대를 넘어 지역 문화를 선도하고 발전시키는 협동조합이 될 것입니다. 조합원들과의 협력은 물론, 새로운 지역 청년 작가들을 발굴해 성장을 도모하고 우리만의 독창적인 굿즈 개발과 지역 문화 활성화에 힘쓸 계획입니다.”
지난 1월 9일 <청주시민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로컬문화협동조합 여유리에 주희진(28) 이사장이 한 말이다.
여유리에는 문화도시 청주와 함께 성장해온 지역 청년 작가 10명이 합심해 만든 조합이다. 조합을 이끄는 주희진 이사장은 과거 ‘굿쥬’라는 문화도시 청주만의 독특한 브랜드를 성공시킨 경험이 있다.
이런 경험을 살려 이번엔 정감 있는 행정 구역 명칭인 ‘~리’에서 영감을 받아 ‘여유가 가득한 지역의 새로운 공간’이란 뜻의 ‘여유리에’로 새 출발을 시작했다. 현재 유명 대기업과 자체 매장 구축을 논의하는 등 새로운 판로를 개척하고 있다.
주희진 이사장은 “5년간 이어온 법정문화도시 사업인 청년문화상점 굿쥬가 지난해 말 종료됨에 따라 함께했던 지역 청년 작가들과 미래에 대한 고민을 많이 했었다”며 “굿쥬가 가진 의미와 가치를 이어가면서 지역 청년 작가들이 청주만의 특색있는 상품을 창작하고 상생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제2 월호 외국인 주민 정착 돕는 청주시외국인주민지원센터
외국인 주민 정착 돕는 청주시외국인주민지원센터
외국인 주민 정착 돕는 청주시외국인주민지원센터
이은숙 외국인주민지원센터장

2024년 12월 말 기준 청주시 월별인구 통계를 보면, 청주시 인구 88만 1천 600명 중 외국인 주민은 2만 7천 63명이다. 이는 전체 인구의 3.1%쯤 된다.
구별 외국인 주민 수는 △흥덕구 1만 776명 △청원구 8천 233명 △서원구 6천 125명 △상당구 1천 929명 순이다.
양질의 일자리를 찾아 청주시에 자리 잡으려는 외국인이 늘고 있는 만큼, 이들과의 상생은 필연적이다. 이런 상황에서 외국인들의 안정적인 생활과 정착을 돕는 청주시외국인주민지원센터가 외국인 주민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이은숙 청주시외국인주민지원센터장은 지난 1월 6일 <청주시민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외국인 주민의 빠른 정착을 위해서는 언어를 빨리 배우는 게 필수”라며 “센터에서 추진 중인 사업 중 한국어 지원사업이 가장 메인이라 보면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작년부터 글로벌 서포터즈를 운영하고 있다”며 “한국어를 배워도 쓸 기회가 없는 외국인 주민들이 이런 커뮤니티 활동을 하면서 언어를 빠르게 익히고 우리 문화를 직접적으로 느낄 수 있게 하는 게 이 사업의 핵심”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두-드림합창단, 청주시글로벌청소년단 등 내국인과 융화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라며 “향후 양질의 사회통합 프로그램을 개발해 외국인 주민들이 지역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2023년 문을 연 이 센터는 흥덕구 봉명로 163에 자리하고 있다.
한국어교육, 통번역 서비스, 생활정보 안내 및 상담, 아동프로그램 및 작은도서관 운영, 네트워크 지원 등을 수행하고 있다. 센터 운영은 공개 모집으로 선정된 (사)충북국제협력단이 맡았다.
다음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