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공연정보

공연안내 월간공연정보
  • 악극 “인생人生“ - 희노애락[喜怒哀樂]을 담다.포스터

    악극 “인생人生“ - 희노애락[喜怒哀樂]을 담다.

    Openning – 자막 [BGM – 가야금 산조 OR 상사화] 제 1장 [희 喜] - 탄생의 기쁨 방백극 - 70대 할머니 희수의 방백 NO. 1 노래 : Your story – 탄생의 순간을 기쁨으로 표현한 노래. 제 2장 [노 : 怒] - 삶의 번민 방백극 - 40대 장년 희수의 방백 NO. 2 노래 : Buzzer beater – 중년의 고뇌와 번민을 노여움으로 표현 제 3장 [애 : 哀] - 사랑의 슬픔 [ with 한국무용 ] 방백극 - 20대 중년 희수의 방백 No.3 곡명 : 아비 계신 곳/ 두견이 – 아버지의 장례식! 슬픔의 노래 제 4장 [락 哀] – 즐거운 인생 방백극 - 10대 어린 희수의 방백 No. 5 곡명 : 락樂-funny – 인생을 즐거운 것 즐거운 인생을 노래한다. Ending – 곡명 : 살이- 노래 : 오나래 오나연
    • 장 소 예술의전당(소)
    • 일 시 2023.09.27(수) 19:30
    • 입장료 전석 무료
    • 주 최 충북문화재단
    • 문 의 010-3936-4156
  • 제 12회 청주아리랑 한마당_아리랑 꽃신포스터

    제 12회 청주아리랑 한마당_아리랑 꽃신

    1부 전통연희 공연, 전통적인 청주아리랑의 소리와 한국무용 부채 입춤을 시연한다. 2부 뮤지컬 꽃신의 스토리를 도창과 노래공연으로 표현한다. [ 시창 삶과 이별 ] 노래#1 [가지마오] 어린 순이의 마음에 상처로 얼룩진 헤어짐의 기억 노래#2 [갈까보다] 남편과 헤어져야만 하는 아내의 마음 [ 1창 시련의 여정 ] 노래#3 [누구의 백성인가?] 나라 잃은 백성 그들이 외치는 좌절과 고뇌의 노래 노래#4 [저 달빛은] 휘영청 밝은 달을 보며 서로를 그리워하는 부부의 마음 [ 2창 끝없는 시련 ] 노래#5 [북망산천] 동진아재의 죽음. 그는 그들에게 조국이요, 등불이었다. 노래#6 [한 많은 세상이야!] 끝없는 시련! 현숙의 마음에 담긴 한 맺힌 노래 [ 닫음 창 돌아가는 길, 독립 그리고 해후 ] 노래#7 [돌아가리라.] 상준이 부르는 희망의 노래 노래#8 [아라리야] 사랑하는 사람과 미래의 대한을 노래한다.
    • 장 소 예술의전당(소)
    • 일 시 2023.09.26(화) 19:30
    • 입장료 전석 무료
    • 주 최 충북문화재단
    • 문 의 010-3936-4156
  • 제29회 충북학생국악경연대회포스터

    제29회 충북학생국악경연대회

    1. 사 업 명 : 제29회 충북학생국악경연대회 2. 목 적: ○ 도내 초․중․고교생을 대상으로 국악경연의 장을 마련하여 우리 민족 고유 음악인 국악의 소중함을 일깨우고 국악의 대중화 및 생활화를 도모 ○ 청소년 전통음악 축제의 장으로 전통문화의 계승 발전의 기회를 제공, 민족문화창달에 기여하고 건전한 청소년문화육성을 꾀한다. 3. 사업개요 : ○ 기 간 : 2023년 9월 24일(일) ○ 위 치 : 청주예술의 전당 소공연장, 대회의실 (단체경연 장소 : 소공연장, 개인경연 장소 : 대회의실) ○ 규 모 : 약 300여명 ○ 내 용 : 충북 도내 초,중,고교 국악경연대회 - 주최/주관 : 충북문화원연합회 - 후원 : 충청북도, 충청북도교육청 - 경연종목 : 국악부문 ① 개 인 : 각 부문별 자유곡으로 연주시간 5분 내외 ② 단 체 : 기악(성악)부문/ 풍물(사물)부문 (각 부문별 자유곡으로 10분 내외 연주 ) - 심사 : 권위 있는 국악계 교수 및 전문가를 부문별로 위촉, 심사한다. - 시상내역 : 종합대상, 금상, 은상, 동상, 장려상, 지도교사상 4. 기대효과 ○ 도내 초․중․고교생을 대상으로 국악경연의 장을 마련하여 우리 민족 고유음악인 국악의 소중함을 일깨우고 국악의 대중화 및 생활화를 도모
    • 장 소 예술의전당(소)
    • 일 시 2023.09.24(일) 09:00
    • 입장료 전석 무료
    • 주 최 충청북도문화원연합회
    • 문 의 043-267-7507
  • 제9회 신동문 문학제포스터

    제9회 신동문 문학제

    - 문학강연 - 제2회 신동문문학상, 신동문청주문학상 시상 - 제11회 신동문청소년문학상 시상 - 시 낭송 및 예술공연 - 신동문 다큐 영상상영
    • 장 소 예술의전당(소)
    • 일 시 2023.09.23(토) 16:00
    • 입장료 전석 무료
    • 주 최 (사)딩아돌하문예원
    • 문 의 010-5641-3151
  • GO BACK - 고백포스터

    GO BACK - 고백

    · 제목 : ‘GO BACK – 고백’ · 기획 의도 작품 타이틀 고백은 앞,뒤을 의미하는 GO BACK과 마음속에 숨긴 일이나 생각한 바를 솔직하게 말함을 의미하는 고백의 2가지를 의미한다. 고백이라는 단어를 가지고 서로 생각하는 것이 다르다. 달콤함, 무지개, 절규, 독백, 사랑, 표출, 상처, 전진, 후진, 멈춤, 일상, 하트, 선택, 방향,등등,... 누군가는 나의 마음을 표출한 독백을..... 누군가는 달콤한 고백을... 누군가는 인생을 살면서 앞으로 전진, 잠시멈춤, 뒤로 물러남.... 누군가는 본인 마음을 스스로에게 다짐을..... 등등 이번 타이틀 ‘GO BACK-고백’은 3인의 안무가가 각자 느끼는 고백을 서로 다른 방식으로 즉흥춤과 함께 창의적이고 실험적인 무대를 만들어 보고자 한다. ·연출 방식 및 내용 # 1. GO BACK 사회생활을 하는 우리들이 현실에서 부딪히는 선택의 순간을 GO BACK으로 풀어 보려한다. 배경 스크린에 GO BACK STOP를 기호와 시켜 기호가 의미하는 나의 지금 마음을 움직임으로 표현 한다. # 2. 뭉크의 고백 ‘뭉크의 절규‘를 안무가와 함께 즉흥 움직임으로 움직여보고 안무가의 ‘뭉크의 고백’을 선 보인다. 안무가의 시각에서 바라본 ‘뭉크의 절규’ 작품을 ‘뭉크의 고백’으로 재해석해 보았다. 스크린 영상으로 뭉크의 절규 작품을 배경으로 이 작품을 보고 느끼는 감정들을 관객과 이야기해 보고 안무가가 고백으로 풀어가는 방식으로 전개해 보려 한다. # 3. 여女, 밈 나의(여인) 마음을 표출한 독백. 여인의 옷깃은 단정히 여며져 있다. ‘여밈’이란 벌어진 옷깃이나 장막 따위를 바로 합쳐 단정하게 하다. 또는 옷고름을 고쳐 매면서, 그 안쪽에 있는 마음을 다스린다는 의미로 마음을 추스르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옷깃을 여미며 내 마음을 다 잡아 보는 안무가의 마음을 한국적 여인의 정서로 표현한다. 누군가에 의해 상처받은 내 마음을 독백 형식으로 구성해 보려 한다. · 일시 : 2023 09. 22 금요일. pm7:00 · 장소 : 예술의전당 소극장 · 총예술감독 : 이옥란 · 안무 : 최원섭, 이재문, 이옥란 · 조명 : 노상민 · 무대 : 이재민 · 영상 및 사진 : 조태민 · 출연 : 한송이,, 최원섭, 이재문, 이준원, 김연정, 한우리, 박휘민,성용진,이옥란
    • 장 소 예술의전당(소)
    • 일 시 2023.09.22(금) 19:30
    • 입장료 전석 무료
    • 주 최 이옥란 댄스시어터
    • 문 의 010-2991-6007
  • 최진 가야금 독주회포스터

    최진 가야금 독주회

    가야금의 나무와 현의 울림속에서 가을의 향기를 느끼며 그 울림을 느껴볼 수 있는 공연으로 우리의 이야기를 담은 공연을 통해 관객과 연주자가 함께 호흡하며 연주를 이끌어가는 공연이다. 이는 흥미와 위로의 마음을 전달하며 쓸쓸한 가을의 행복한 위로 전달을 목적으로 한다.
    • 장 소 예술의전당(소)
    • 일 시 2023.09.20(수) 19:00
    • 입장료 전석 무료
    • 주 최 최진, 한국교원대학교
    • 문 의 043-223-4030
  • CBS와 함께하는 앤킴의 성가 콘서트의 포스터

    CBS와 함께하는 앤킴의 성가 콘서트

    이번 음악회는 고전과 현대 음악이 함께 어우러져 초연되는 성가곡의 만남과 기존 유명곡들의 새로운 편곡이 다양한 악기 구성으로 함께 선보여지는 무대이다. 피아노 현악 3중주, 마림바듀오, 성악가들의 솔리스트 무대 및 중창, 합장의 다양한 무대를 만나 볼 수 있다. CBS 방송의 후원으로 연주 실황을 방영함으로서 음악을 사랑하는 지역인들과 특별히 음악을 전공하는 이들에게 관심과 흥미가 기대되어지는 무대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 장 소 예술의전당(소)
    • 일 시 2023.09.19(화) 19:30
    • 입장료 전석 20,000
    • 주 최 에이디 뮤직 엔터테이먼트
    • 문 의 010-2588-0871
  • 꿈나무 콘서트 <to My Student>의 포스터

    꿈나무 콘서트 <to My Student>

    피아노 교사모임인 <더 블루밍 피아노 샾>의 회원이 지도하는 학생들의 발표무대로 개개인의 학원 발표회 형식에서 업그레이드 된, 대표학생들의 연주공연이다.
    • 장 소 예술의전당(소)
    • 일 시 2023.09.17(일) 17:00
    • 입장료 전석 무료
    • 주 최
    • 문 의 010-4448-7548
  • 청주 춤 페스티벌(Mom-festival)포스터

    청주 춤 페스티벌(Mom-festival)

    <행사명> 청주 춤 페스티벌 (Mom-festival) - 과거로부터 현재로 <기획의도> 다양한 춤의 장르를 시간순으로 보여주어 춤 변천사(역사)를 흥미롭게 감상할 수 있게 하며 지속적인 페스티벌을 통해 지역 활동가 인프라를 구축하고자 한다. <행사내용> 1. 클래식발레 – 이승영 2. 탈춤 - 연수연, 박준하 3. 교방춤 – 정은정, 김남화, 최예린 4. 한국창작무 – 안선영 5. 민족춤 – 오세란, 오세아 6. 모던발레 – 신소민 외 2명 7. 스트릿댄스 – 이재서 외 2명 <참여예술인> 오세란(민족춤), 정은정(한국전통), 연수연(탈춤), 오세아(민족춤), 김남화,(한국전통), 안선영(한국창작), 최예린(한국전통), 박준하(탈춤), 이승영(발레), 신소민(발레), 이재서(스트릿댄스)
    • 장 소 예술의전당(소)
    • 일 시 2023.09.16(토) 17:00
    • 입장료 전석 무료
    • 주 최 사)충북민예총 청주지부
    • 문 의 043-221-4445
  • 권효은 Piano Class 음악회포스터

    권효은 Piano Class 음악회

    • 장 소 예술의전당(소)
    • 일 시 2023.09.13(수) 19:00
    • 입장료 전석 무료
    • 주 최
    • 문 의 010-9258-9679
  • 국악놀이터 The채움 정기공연 ‘滿耳樂’의 포스터

    국악놀이터 The채움 정기공연 ‘滿耳樂’

    국악놀이터 The채움의 정기공연은 국악놀이터 The채움의 창작곡들로 이루어진다. 이번 공연에서는 기존의 채움의 창작물들과 채움의 새로운 창작곡들을 선보이고자 한다. 사물장단을 기본으로 하여 연주되는 곡 ‘파랑’ 김진석 단원의 신곡인 ‘사랑가’ 등을 채움의 음악적 감성을 담아 창작하고 연주될 예정이다. ◉ 프로그램 1. Home (소지원 작곡) 집이라는 단어는 우리에게 항상 편안함으로 다가오는 단어이다. 바쁘고 정신없이 흘러가기만 하는 일상속에 지쳐 있다가도 언제나 내가 찾아갈 수 있는 고향집에 대한 기억을 표현해 보았다. 2. 파랑 (波浪) 부서지는 물결, 파도의 다른 말이다. 여기저기 모난 놈들이 바다에 굴러들어와 지들끼리 부딪치고 파도에 굴러다니며 몽돌이 되었다. 수많은 돌멩이들이 부딪쳐 모래가 되어 사라져 갔지만 우리는 그 부딪침을 이기고 여기 존재하고 있다. 음악하는 우리들의 삶을 사물놀이 장단과 채움의 선율로 표현하였다. 3. 슬픈아리 (김진석 작곡) 아리랑을 주제로 재해석한 곡이다. 떠나는 님을 그리며 슬퍼하는 마음을 담은 곡으로 김진석 단원의 감성적 보컬과 대금연주를 중심으로 피아노 반주와 첼로의 선율이 어우러져 구슬프고 애절한 선율을 담아 표현하였다 4. 회상 (김진석 작곡) 서랍장 속에 놓여 있던 일기장을 꺼내어 보며 유년 시절의 지니고 있었던 감성과 기억들을 회상하며 만든 곡이다. 경쾌한 리듬 사이로 어린 시절 추억을 떠올리게 하는 익숙한 국악선율이 함께하는 즐거운 곡이다. 5. 여우내 (소지원 작곡) 청주 인근에 미호천과 금강물과 물이 만나는 곳을 여우내라 부른다. 모래톱이 자연스럽게 만들어지고 그 모래톱은 온갖 생명들이 자라나는 터전이 된다. 그 생명은 다시 다른 생명의 토대가 되고, 그 들은 함께 공존을 이루며 살아간다. 여우내의 기억을 담아 채움의 음악으로 표현하였다. 6. 사랑가 (김진석 작곡) 가장 대중적인 판소리의 대목 중인 하나인 사랑가의 대목을 현대적인 리듬감과 김진석의 감성으로 막곡한 곡이다. 7. 도드리 (김진석 작곡) 도드리는 우리 음악의 형식 중 하나로 ‘다시 돌아간다’ 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마치 시계태엽처럼 반복되는 일상, 그 반복되는 삶 속에서 변화를 추구하는 모습을 음악으로 표현해 보았다. 8. 그리다 (소지원 작곡) ‘그리움’이라는 감정을 되짚어보며 써 내려간 곡으로 누군가는 사람을, 누군가는 지나간 한 때를 뒤돌아볼 때 느끼는 먹먹하고 아련한 감정을 국악기의 음색과 채움의 감성으로 표현하였다.
    • 장 소 예술의전당(소)
    • 일 시 2023.09.12(화) 19:30
    • 입장료 전석 10,000
    • 주 최 국악놀이터 The채움
    • 문 의 010-7511-4289
  • 2023 씨알누리 우수 레퍼토리 공연 '고갱이'포스터

    2023 씨알누리 우수 레퍼토리 공연 '고갱이'

    전통음악을 기반으로 다양한 실험의 양상을 보여주는 음악작업을 통해 생산한 작품으로 대중과 만나는 공연이다. 한국 전통음악의 어법을 기반으로 다양한 실험과 다른 나라의 여러 가지 악기와 우리 전통의 다양한 타악기의 조우와 협업을 통하여 창작한 음악을 연주하려 한다.우리 음악과 서양음악, 타악기와 선율악기의 만남, 제주도 무속의 타악기 연물과 육지의 굿과 풍물에 쓰이는 타악기들의 만남을 통해 구체화한 작품들을 관객들에게 선보일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전통 창작 음악의 새로운 레퍼토리를 대중들에게 선사할 것이다.
    • 장 소 예술의전당(소)
    • 일 시 2023.09.09(토) 17:00
    • 입장료 전석 20,000
    • 주 최 씨알누리
    • 문 의 010-5182-0973
  • 2023년 제25회 청주시무용협회 정기공연 '무용과 함께하는 축제의 포스터

    2023년 제25회 청주시무용협회 정기공연 '무용과 함께하는 축제

    청주시협회원의 순수 무용예술인의 작품을 선정하여 우수작품을 무대에 올린다. 시민들에게 춤을 알리는 계기와 전문 예술분야인 무용이 대중 앞에 한발 다가설수 있는 기틀을 만들고, 또 한 무용협회의 위상을 정립하고 나아가 지역 예술문화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다. 각 교류지역 무용협회에서 선정위원을 모셔와 우수공연을 선정하여 타지역과의 교류공연을 진행한다.
    • 장 소 예술의전당(소)
    • 일 시 2023.09.07(목) 19:30
    • 입장료 전석 무료
    • 주 최 사)청주시무용협회
    • 문 의 010-4616-3485
  • 김민지 가야금 팔색조3  ‘경기잡가’의 포스터

    김민지 가야금 팔색조3 ‘경기잡가’

    김민지 가야금 연주회
    • 장 소 예술의전당(소)
    • 일 시 2023.09.05(화) 19:30
    • 입장료 전석 무료
    • 주 최 김민지
    • 문 의 010-9059-4773
  • 제13회 청주시민가요제포스터

    제13회 청주시민가요제

    충청북도내 남,여시민을 대상으로 시민가요제를 개최함으로서 숨은 인재를 발굴하고 가수등용의 길을 제공하여 대중예술 발전에 이바지 하고 청주시의 문화 예술도시로서의 이미지 제고.
    • 장 소 예술의전당(소)
    • 일 시 2023.09.03(일) 14:00
    • 입장료 전석 무료
    • 주 최 청주예총
    • 문 의 043-223-4030
  • 인생 클래식포스터

    인생 클래식

    2023년 루바토앙상블 정기연주회'인생클래식'은 30여년의 전통을 가진 루바토 앙상블의 정기공연입니다. 루바토 앙상블 단원들은 충청지역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전문 피아니스트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충북문화재단 사업에 매회 선정되어 해마다 2회 이상의 공연을 통해 관객들과 소통하고 클래식 음악의 스펙트럼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인생클래식'은 루바토 단원들이 좋아하고 연주하고 싶은 인생곡을 선정하여 관객들에게 다양한 클래식 음악을 선사하고자 합니다.
    • 장 소 예술의전당(소)
    • 일 시 2023.09.02(토) 17:00
    • 입장료 전석 무료
    • 주 최 루바토앙상블
    • 문 의 010-4414--84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