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사본의 종류

  • 직지와 인쇄문화
  • 인쇄출판의 역사
  • 필사본
  • 필사본의 종류

필사본의 종류

  • 직지와 인쇄문화
  • 인쇄출판의 역사
  • 필사본
  • 필사본의 종류

필사본은 학자에 따라 여러 가지 방식으로 분류되는데 일반적으로 고본(稿本)·전사본(傳寫本)·사경(寫經)으로 나눌 수 있다. 저자나 편자가 처음으로 쓴 책을 고본이라 하며 원고본(原稿本)이라고도 한다. 고본은 문헌 또는 사료로서 일차적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저자 자신이 직접 쓴 것을 자필고본(自筆稿本) 또는 수고본(手稿本)이라 하여 더욱 중요시한다.

고본은 여러 차례 수정하는 경우도 있는데 가장 먼저 작성한 것을 초고본(初稿本)이라 하고 초고본을 수정한 경우 재고본(再稿本)이라 하며 여러 번 고쳐서 차례를 알 수 없는 경우 개고본(改稿本)이라 한다. 그리고 고본을 마지막으로 손질하여 완성된 것을 정고본(定稿本)이라 하고 바른 글씨체로 정서한 것을 정서고본(淨書稿本)이라 하며 목판이나 석판에 새기기 위하여 쓴 것을 판하본(版下本)이라 한다.

간행된 고본기간고본(旣刊稿本)은 간행본의 잘못된 곳을 교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고, 간행되지 않은 고본미간고본(未刊稿本)은 사료적 가치가 크다. 저자가 직접 쓴 고본과는 달리 베껴 쓴 책을 전사본(傳寫本)이라 하는데 사료적인 가치는 크지 않으나 원고본이나 간행본이 없는 경우에는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전사본 중 대본을 그대로 모방하여 쓴 것을 모사본(模寫本) 또는 모본(摹本)이라고 하며 모사본 중 대본의 형태와 똑같이 투사하여 만든 책을 영사본(影寫本)이라 한다. 대개 귀중본을 전사할 때 이 방법을 사용한다. 글씨를 배우기 위해 서첩을 만들 경우 모방하여 쓴 것을 임사본(臨寫本)·임모본(臨摹本)·임본(臨本)이라 한다.

사경(寫經)은 단순히 학습이나 연구를 위한 필사와는 달리 신앙의 차원에서 경문이나 그림을 그려 만든 것이다. 주로 백지(白紙)·감지(紺紙)·상지(橡紙)에 먹물이나 금·은가루를 가지고 썼다. 한 사람이 쓴 일필경(一筆經)과 여러 사람이 쓴 각필경(各筆經)이 있다.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운영사업과
  • 담당자 우민석
  • 전화번호 043-201-4263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허락 표시
공공누리 마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마크

출처 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