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수도용어사전

상수도용어사전

수질용어찾기

수도/수질등의 특성에 대한 용어 규정집 입니다.
용어출처 - 한국수자원공사

검색 된 단어수 : 846
역사이폰 (inversed siphon)
하천이나 도로를 횡단하는 경우 ‘凹’형의 수로.사이펀 을 뒤집어 놓은 모양이라고 해서 역사이펀이라고 한다. 역사이펀을 설치할 때에는 퇴수구가 진입구보다 낮아야 정상적으로 물이 흐를 수 있으며, 관개수에 이물이나 잔모래가 많으면 사이펀이 막힐 우려가 있으므로 가끔 점검을 해서 청소해야 한다.
역삼투법 (reverse osmosis)
담수를 만드는데 전망이 좋은 방법으로서 상의 변화가 없고 에너지 이용도 대단히 적게 될수 있다.
역세척 (back wash)
압력정수 물 여과 흐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압송하여 여과층을 씻어 내는것.
역암 (conglomerate)
입경 2mm 이하의 입자를 포함하는 퇴적암.자갈의 크기에 따라 세력암(細礫岩:2~4mm), 중력암(中礫岩:4~64mm), 대력암(大礫岩:64~256mm)으로 나뉜다. 운반작용에 의해 마멸되어 둥그스름해진 역을 주로 한 것을 원력암(圓礫岩), 모난 각력(角礫)을 주로 한 것을 각력암이라고 한다. 역암에는 다른 암질의 역이 여러 가지로 함유된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것을 다원(多元)역암이라고 한다. 이에 대하여 역의 종류가 한 종류인 것을 단원(單元)역암이라고 하며, 드물게 존재한다. 역암에는 유수(流水)나 빙하 등에 의해서 생성되는 것과, 화산활동과 더불어 생긴 것 등이 있다. 일련의 지층 내에서 차지하는 위치로 보아, 해진(海進)에 따라 지층 기저(基底)에 생긴 기저역암, 해퇴(海退)에 따라 지층 최상부에 생긴 정상역암(해퇴 역암), 지층 내부에 있는 층내(層內)역암 또는 층간(層間)역암 등으로 구별된다. 역암은 그 분포상태, 지층 내에서의 위치, 역종(礫種) 등으로 보아, 퇴적조건을 이해하는 실마리가 된다. 역암이 변성작용을 받아도, 원래의 역암 구조가 남아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와 같은 것을 역질편암(礫質片岩)이라고 한다. 그 구조는 잔류역암구조라고 하며, 역은 편평하게 늘어난 형태로 보존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역전현상 (overturn)
가을에 저수지 표면수온이 낮아지면, 표수층의 밀도 가 증가하여 밀도차로 심수층과 혼합이 쉽게 이루어진다. 이때 심수층은 상승하게 되며 이과정을 반복하면서 저수지 전체가 혼합되는 현상이다. 온대지방의 저수지는 대부분 매년 봄과 가을에 한번씩 혼합된다.
역조정지 (Reregulating Reservoir)
조정에 의하여 생긴 발전소 방류량의 변동이 하류의 이수 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상류조정지의 조정작용 결과를 역으로 조정하여 자연유량으로 환원시켜 방류하는 목적으로 설치되는 침전지.
역지밸브 (chedk valve)
펌프가 고장났을때에 역류 방지를 위해 설치하는 밸 브.
역지판 (check valve)
관의 파열로 대량의 물이 역류하는 곳에 설치하여 한 방향으로 물이 흐르게 하는 판.
역치 (threshold value)
신경이나 근육 등에 반응을 일으키는 데 필요한 최소 자극값.최소 한계값이라고도 한다. 작용 원인에 따라 역치의 종류도 여러 가지가 있다. 자극작용일 때는 자극역이라 하고, 그 중에서도 감각 종류에 따라 시각역 ·청각역이라고 부른다. 이들 값은 생체가 자극을 받아 흥분을 나타내는 능력, 즉 흥분성의 척도로 삼을 수도 있다.
역필터 (inverted filter)
지하수 유출 지점에 침식 방지를 위해 설치하는것.
역학적 난류 (mechanical turbulence)
건물 나무 숲 또는 바위와 같이 불규칙한 물체 위와 주변으로 공기가 이동할때 만나는 마찰응력으로 생기는 난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