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꿈과 희망이 있는 곳! 우리들의 세상, 청주랜드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꿈과 희망이 있는 곳! 우리들의 세상, 청주랜드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파충류

센터소식 - 농업정보알림 상세보기 - 제목, 부서, 내용, 파일 제공
제목 육우, TMR 맞춤 사양으로 출하성적 올리고 사료비 줄여요
부서 기술보급과(농업기술센터)
내용 농촌진흥청은 최근 육우1) 사육 농가에서 농산부산물을 활용한 섬유질배합사료(TMR)의 수요가 늚에 따라 비육과 육질을 개선하고 농가 소득에도 도움이 되는 영양 수준을 설정, 발표했다.

육우는 사육 기간이 짧고 농후사료2) 위주로 사육해 농가의 사료비 비중이 큰 편이다. 생산비 중 사료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55%∼60%에 이른다. 육질 등급도 2등급, 3등급 출현율이 86% 이상으로 높은 편이어서 도체3)가격이 낮다.

농촌진흥청은 육우의 육성기4), 비육전기5), 비육후기6)에 섬유질배합사료의 조단백질(CP)7) 수준을 17%, 15%, 13%, 가소화양분 총량(TDN)8)은 각각 중간 수준(74%-80%-84%), 낮은 수준(71%-78%-82%)으로 나눠 18마리에게 14개월간 급여해 출하했다. 그 결과, TDN을 중간 수준(74%-80%-84%)으로 설정해 먹이는 것이 소득을 늘리는데 유리했다.

하루체중증가량(일당증체량)과 일일사료섭취량, 도체중은 크게 차이가 없었으나, 육량등급과 육질등급은 TDN을 2%~3% 정도 높게 급여했을 때 더 우수했다. 사료비는 TDN을 높게 급여할 때가 적게 급여했을 때보다 5.5% 증가했으나, 마리당 소득은 TDN이 높았을 때 37% 늘어 결과적으로 더 이득이었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강희설 낙농과장은 “육우의 섬유질배합사료를 먹여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각 단계에 알맞은 맞춤형 영양공급으로 육량과 육질등급을 개선하는 사육 방안이 필요하다.”라고 전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국내에서 사육되고 있는 비육용 젖소 수컷.
2) 알곡혼합사료.
3) 도축한 가축에서 가죽·머리·발목·내장 따위를 떼어 낸 나머지 몸뚱이
4) 4개월~10개월
5) 11개월~14개월
6) 15개월~18개월
7) Crude protein. 질소화합물은 단백질 외에 아미노산, 아마이드, 암모니아 화합물, 배당체 등이 포함되며 이들을 총칭해 조단백질이라 부름.
8) Total digestible nutrients, 소화 흡수하여 얻을 수 있는 영양성분

출처 : 농촌진흥청
육우, TMR 맞춤 사양으로 출하성적 올리고 사료비 줄여요 이미지 1
파일 첨부파일(jpg파일) 1735c40d-2d76-4d38-89c6-1c0b6d8d885a.jpg1735c40d-2d76-4d38-89c6-1c0b6d8d885a.jpg 바로보기
이전,다음보기
이전글 '새일미'벼 이앙 후 병해충 관리 철저
다음글 '채소 신선도 유지' 프로폴리스 활용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