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체육행사안내

Cheongju City

분야별정보

체육행사안내

‘고대史 비밀’ 목간으로 푼다(1) 내용, 파일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제목 ‘고대史 비밀’ 목간으로 푼다(1)
내용 국내출토 木簡 집대성 ‘도록’ 출간 지금까지 국내에서 출토된 목간(木簡)을 집대성한 도록이 발간됐다. 국립창원 문화재연구소(소장 김선태)는
1975년 경주 안압지에서 처음 수습된 고대 목간 을 시작으로 지난 30년간 전국 각지에서 발굴된 목간유물 거의 모두를 망라한 ‘한국의
고대목간’을 27일 출간했다. 창원문화재연구소는 지난 91년부터 9차례 에 걸쳐 실시한 함안 성산산성 발굴조사과정에서 6세기 대 목간
116점을 수습 한 경험을 바탕으로 이번 도록을 준비했다. 따라서 도록에는 국내 최대(最大)· 최고(最古)의 목간 출토지로 주목받고 있는 함안
성산산성을 필두로, 경주와 부여, 김해, 익산 등지의 12개 유적에서 출토된 총 319점의 목간이 수록돼 있 다. ◈목간이란 무엇인가〓목간은
문자를 기록하기 위해 목재를 다듬어 세장형(細 長形·길다랗고 폭이 좁은 모양)으로 만든 나무판을 말한다. 종이가 보편화되기 전에 고대 동아시아
사회에서 널리 사용된 기록유물 중 하나다. 한국 고대 목간의 경우 대체적으로 길이 23㎝, 폭 2~3㎝, 두께 0.5㎝ 내외의 형 태를 하고
있다. 나무에 붓글씨를 처음 쓰기 시작한 중국에서 부르는 목간 또 는 ‘간독(簡牘)’이란 용어는 대나무를 재료로 한 ‘죽간(竹簡)’과 대나무
외에 버 드나무 등을 이용한 ‘목독(木牘)’을 통칭하는 말이다. 후한시대 채륜이 종이의 품질을 개선해 널리 보급하기 전 중국 춘추전국시대
일반적인 책의 형태는 묵 서가 기록된 세장형의 대나무판을 끈으로 연결시킨 형태였다. 공자가 가죽 끈 이 닳아 끊어질 정도로 책을 많이 읽었다는
‘논어(論語)’의 기록은 이같은 조건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그러나 중국과 달리 한국과 일본에선 죽간이 거의 쓰이지 않았다. 일본에선 죽
간의 출토 예가 하나도 없으며 국내에서도 42년 경주 황복사지 3층 석탑의 사 리장치에서 발견된 불경을 기록했을 것으로 보이는 죽간(현재
전하지 않음)이 거의 유일한 사례다. 대신 한국에선 소나무가, 일본에선 삼나무가 주로 목간재 료로 이용됐다. 윤선태 한신대 학술원 연구교수는
“중국에서 춘추전국시대 이전에 시작된 나 무에 기록하는 방식이 기원전 1세기 쯤에는 한반도 남단까지 퍼졌고, 늦어도 7 세기에는 일본에
전파됐다”고 설명한다. 문헌이 부족한 고대사 연구에서 당시 의 생생한 자료인 목간의 중요성은 이루 말할 수 없지만 40여만점의 간독이 발 굴된
중국이나 30여만점의 목간이 출토된 일본에 비해 우리는 수습된 목간이 극히 미미한 수준이며 이를 이용한 연구도 초보적인 수준이다. ◈국내 최초
목간 도록 발간의 의의〓최근까지 학계에 보고된 목간은 12개 유 적에서 출토된 148점에 불과했다. 그러나 이번 도록에는 발굴은 됐지만 아직
보고되지 않은 신규자료 171점을 포함해 국내 출토 목간 하나하나의 원색사진 과 적외선사진, 묵서 확대사진이 세트로 실려 있다. 규격이 큰
목간을 제외하 곤 도판이 실물크기로 편집돼 있으며 지난 2002년 성산산성 출토 목간은 실측 도면도 수록됐다. 총 319점의 목간 중
신라목간은 7개 유적(함안 성산산성, 하 남 이성산성, 김해 봉황동유적, 경주 안압지·월성해자·황남동 376번지 유적·국 립경주박물관
미술관부지 및 연결통로부지내 유적)에서 출토된 282점, 백제목 간은 5개 유적(부여 관북리유적·능산리사지·궁남지·쌍북리유적, 익산 미륵사
지)에서 수습된 37점이다. 이중 묵서(墨書·붓글씨)가 발견된 목간은 239점이었 으며, 다시 앞·뒷면 또는 4면에 묵서가 쓰인 목간까지
감안하면 총 384개면에 서 묵서가 확인됐다. 특히 안압지의 경우 적외선 사진 촬영결과 종래에 묵서가 없는 것으로 간주했던 46점의 목간에서
새로이 글자 혹은 붓글씨 흔적이 발견 됐다. 국립중앙박물관 역사부의 이용현 학예연구사는 “그동안 연구자들도 구하기 어 려웠던 국내 출토
목간자료가 거의 모두 공개돼 누구나 이용할 수 있게 됐다” 며 “특히 경주 월성해자와 부여 관북리 출토 목간은 대부분 이번에 처음 공개 되는
자료로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도판과 함께 함안 성산산성 출토 목간을 중심으로 한·중·일 동아시아 3국의 목간을 고찰한 논문 7편과 묵서의
판독문 비 교 일람표도 수록돼 있다. 아직 보고서가 나오지 않은 신규자료들의 경우 판독 문이 실려 있지 않는 것 등은 아쉬움으로 남지만 이번
도록이 국내 목간 연구 의 수준을 한단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은 분명해 보인다.
파일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 체육교육과
  • 담당자 : 신윤경
  • 문의전화(043) : 201-2063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