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공개방

정보공개방

커뮤니티-보도자료 상세보기 - 제목, 내용, 파일 제공
제목 가까이하기엔 너무먼 문화
내용 [문화마당] 가까이 하기엔 너무 먼 文化 ‘명동백작’으로 불리던 시인이 있었다. 불우하게도 그는 31세로 요절했다. 1950년대를 배경으로 한 그의 숱한 일화가 전해진다. 그는 머리도 상고머리로 깎고 명동을 누볐다. ‘카사블랑카’의 배우 험프리 보가트 식 머리라고 재면서. 다른 예술가의 머리를 시비했다. “머리가 길어야 예술가답다는 생각은 낡은 세대의 유물이야. 구역질 나서 볼 수가 없어.” 막걸리를 마시다 말고 그는 가끔 거리로 뛰어나왔다. “스탠드 바에서 봄이면 진 피즈. 가을이면 하이볼 그리고 조니 워커를 마셔야 하는데. 싼 대폿술도 마음대로 안 되니 이거 부끄러워 살 맛이 없다”며 화난 표정을 짓기 일쑤였다. 박인환 이야기다. .명동백작. 누비던 50년대 구호물자를 골라 입은 이 멋쟁이에게서는 경박한 댄디즘과 속물근성이 물씬하다. 그는 재기 발랄한 언행과 과장벽으로 예술인이 모이는 명동을 헤집고 다녔다. 겉멋의 모더니즘 세례를 받았던 그의 시에서는 기억될 만한 작품이 별로 없었다. 그러나 생의 마지막을 앞두고 그는 놀라운 반전을 일으켰다. ‘목마와 숙녀’ ‘세월이 가면’ 두 편으로 대중의 휘황한 갈채를 받게 되는 것이다. 왁자하게 부딪치는 창조적 활력 속에 전후(戰後) 문화는 회생하고 자랐다. 그 가운데 명동국립극장이 버티고 있었다. 50년대 국립극장 주변에는 돌체ㆍ갈채다방이 있었고. 60년대에는 카페 테아트르와 삼일로ㆍ실험소극장이 문화와 낭만. 유행을 이끌었다. 그러나 73년 국립극장이 장충동의 큰 건물로 이전하면서 명동 문화는 순식간에 쇠락했다. 30년만에 희망이 보인다. 정부가 명동국립극장 복원에 착수했다. 2006년 개관을 목표로 이 전문공연장을 명동의 관광명소로 육성할 계획이다. 내국인과 외국 관광객을 적극 유치한다는 것이다. 당국이 뒤늦게 문화예술 공간은 대중과 가까이서 호흡해야 한다는 점을 깨달은 것이다. 덕수궁 옆의 옛 대법원 건물을 서울시립미술관으로 개조한 것도 훌륭한 일이다. 이에 비해 경복궁 옆 국군기무사 건물이 교외로 이전하고 그 자리에 국립현대미술관이 옮겨오기로 했으나. 차일피일 늦어지고 있어 답답하다. 86년 과천 서울대공원 곁에 지어진 국립현대미술관이야말로 문화에 대한 무신경의 극치라 할 만하다. 대규모 놀이공원과 경마장 근처에 세워진 이 미술관은 방문객의 접근이 어려워
파일
이전,다음보기
이전글 청주시립예술단 상임단원 57%-65% 상향조정
다음글 청주시립국악단 하반기 무료강습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 민원과
  • 담당자 : 이수민
  • 문의전화(043) : 201-2973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